動心忍性(맹자 고자장구 하15)
2022. 3. 11 오전에 페이스북에 써 본 글인데, 여기에도 저장해 둔다.
차분한 오전, 생각나는 맹자 구절이 있다.
(아들과 조카들도 함께 읽어보면 좋겠다는 생각에 잔소리를 덧붙여본다)
2005년 12월 어느 날.....
그날의 처절한 내 심정을 어떻게 말로 다 할 수 있으랴.
아내와 함께 부등켜 안고 울어야 했던 그 일을 어찌 잊을 수가 있으랴.....
그 추었던 겨울.....(여기에 털어 놓을 수 없고)
며칠 뒤 형님께서 그 사실을 아시고 격려해 주셨고,
내가 맹자구를 좋아한다고 했더니,
그 이듬해 단오에는 그 구절을 써서 부채를 하나 보내 주셨다.
맹자 告子章句(下15)에 이르기를
天將降大任於是人也(천장강대임어시인야)신덴,
必先苦其心志(필선고기심지)하며,
勞其筋骨(노기근골)하며,
餓其體膚(아기체부)하며,
空乏其身(공핍기신)하며,
行拂亂其所爲(행불란기소위)하나니,
所以動心忍性(소이동심인성)하여,
曾益其所不能(증익기소불능)이니라(이하 略)
(歷山에서 농사를 짓다가 하다가 發身한 舜임금, 토목공사판에서 殷나라 재상에 발탁된 傅說, 어물과 소금파는 저자거리에서 문왕에게 등용된 膠鬲(교격), 옥중에서 齊桓公에게 등용된 管夷吾, 바닷가에서 은거 중에 楚莊王에 발탁된 孫叔敖(손숙오) 등 고대 중국의 명재상들이 고생하다가 등용된 예를 먼저 들어 놓고서...)
맹자 고자장에 이르기를...
하늘이 장차 큰일을 이 사람에게 내리려 할 때는 반드시 먼저 그 心志를 괴롭게 하며, 그 근골을 수고롭게 하며, 그 육체(體膚)를 굶주리게 하며, 그 몸을 공핍하게 하여(그들 자신에게 아무것도 없게 하여), 행함에 그 하는 바를 拂亂시키니(그가 하는 것이 해야 할 일과는 어긋나게 함이니), 이것은 마음을 분발시키고 성질을 참게 하여 그 능하지 못한 일도 增益하게(더 많이 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마침 그 때 찍어 둔 두 장의 사진이 있었다.
이재명을 두고 생각나는 구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