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식과 정지상 詩話
(출전 : 이규보의 白雲小說)
侍中金富軾 學士鄭知常 文章齊名一世 兩人爭軋不相能
世傳 知常有 '琳宮梵語罷 天色淨琉璃'之句 富軾喜而索之 欲作己詩 終不許
後知常爲富軾所誅 作陰鬼
富軾一日 詠春詩曰 '柳色千絲綠 桃花萬點紅' 忽於空中 鄭鬼批富軾頰曰
"千絲萬點有孰數之也 何不曰 '柳色絲絲綠 桃花點點紅'" 富軾心頗惡之
後往一寺偶登厠 鄭鬼從後握陰囊問曰 "不飮酒何面紅" 富軾徐曰
"隔岸丹楓照面紅" 鄭鬼緊握陰囊曰 "何物皮囊子" 富軾曰 "汝父囊鐵乎"色不變
鄭鬼握囊尤力 富軾竟死於厠中
시중 김부식과 학사 정지상은 문장으로 나란히 당대에 이름을 떨쳤는데, 두 사람은 자주 다투어 서로 화합하지 못하였다.
전해오기를 정지상이 "절간에 불경 소리가 끝나니 하늘이 유리처럼 맑구나." 하는 시구를 지었는데, 김부식이 좋아하여 그것을 자기가 지은 시로 해달라고 했으나 끝내 허락되지 않았다.
후에 정지상은 김부식에 의해 죽어 귀신이 되었다.
김부식이 하루는 봄을 맞아 시를 읊기를 "버드나무 천 가지가 푸르고 복숭아꽃 만 송이가 붉구나." 하니, 홀연히 공중에서 정지상 귀신이 김부식의 뺨을 때리며, 천 가지와 만 송이는 누가 그 수효를 헤아렸느냐? 어찌 "버드나무는 가지가지마다 푸르고 복숭아꽃은 송이송이마다 붉구나." 라고 말하지 않느냐? 라고 말하였다. 김부식은 마음으로 자못 못 마땅하게 생각했다.
훗날 김부식이 한 절에 가 우연히 변소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러자 정지상 귀신이 뒤에서 음낭을 잡으면서 "술도 마시지 않았는데 어째서 얼굴이 붉은가?" 하고 묻자, 김부식은 당황하지 않고 천천히 대답하기를 "건너편 언덕 위의 단풍이 얼굴에 비쳐서 붉다."라고 했다. 이에 정지상 귀신이 강하게 음낭을 잡으면서 "어째 가죽 주머니이냐" 부식이 말하기를 "너의 아버지 음낭은 철로 되어 있느냐"하면서 얼굴색이 변하지 않았다. 정지상 귀신이 음낭에 더욱 힘을 주어 잡아쥐어 부식이 마침내 측간에서 죽었다.